✔️ 정보처리기사 최종 합격 2022년 10월 16일에 치뤄진 정보처리기사 3회 실기를 보고나서 합격 후기를 이제서야 올린다.. 하는게 많았어서 바쁘게 지내다보니 합격 후기를 올려야지하고 올리지 못했었서 이제서야 올리게 되었다. ✔️ 맞은 문제들 내가 맞았던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래밍은 모든 문제 다 맞았다. 2) 관계대수 기호 문제는 부분 점수를 맞았다. 3) 디자인 패턴도 부분 점수를 맞았다. 4) 경계값 분석 문제도 맞았다. 5) SQL은 1문제 정답, 1문제 부분 점수를 맞았다. 6) 형상관리 3가지 맞았다. 7) 스케줄링은 부분 점수 맞았다. 8) 기술 용어 문제도 맞았다. 9) 보안 용어 문제는 부분 점수를 맞았다. 10) UML 문제도 부분 점수를 맞았다. 11) ER 다이어그램..
창피하면서도 감사하게 내 블로그에서 가장 조회수가 많은 글은 CPPG 요약 글이다.. 요약 글은 CPPG 자료실에 올라와있는 것을 보기 좋게, 보기 쉽게 요약해서 올린 것인데 감사할 뿐이다. 그래서 오늘은 CPPG 요약 글을 작성한 이후에 공부하면서, 시험 보고 나서 느낀 후기와 개인정보관리사 자격증의 공부 방향 등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싶어 남겨본다. START ❗ 일단은 공부했던 자료는 다음과 같다. 1) 개인정보보호법 3단 비교표 2) 개인정보 안전성 확보조치 해설서 3) 개인정보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해설서 4) cppg 자료실 문서 5종 5) 원큐패스 cppg 이 외에는 다른 블로그를 참고한다던지, EU-GDPR 짧게 정리된 내용 정도를 참고했다. 사실 공부법, 공부방법이라는 것은 따로 없..
마지막으로 살펴볼 과목인 5과목이다. 해당 과목은 개인정보 관리체계와 그에 따른 연관 개념들을 설명한다. 출제기준에 따른 5과목 내용 요약 Ⅴ. 개인정보 관리체계 (15점) 1. 개인정보 관리체계 개요 ① 개인정보 관리체계의 개념 >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란 기업이 고객의 개인정보 보호활동을 체계적·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보호조치이며, 기술적·관리적·물리적·조직적인 보호대책들을 구현하고 지속적으로 관리·운영하는 종합적인 체계를 말한다. >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는 다음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 - 기밀성 - 무결성 - 준거성 위험 (보호조치 또는 법률 규정 사항을 지키지 못하는가?) >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는 위험정도를 평가 후 어디까지 위험을 수용할지 목표를 설정하고, 위험 기반 접근방법을 ..
다음은 공공기관의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운영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리와 요약을 해보려고 한다. > 본 가이드라인은 개인정보보호법 제25조, 개인정보보호법 시행령 제22조부터 제27조까지 및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 제3장의 내용을 설명한 것으로 2012년 3월 5일 제정되고 4차 개정본은 2021년 4월 14일부터 시행된 가이드라인이다. > 본 가이드라인은 공공기관의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운영 및 개인영상정보 보호에 대하여 공공기관이 준수하여야 할 사항을 업무담당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설치·운영하려는 공공기관은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최소한으로 설치·운영하여야 하며, 개별 구체적 사안에서 각 원칙이 구현될 수 있도록 적..
이번에는 출제기준 4과목 맨 하단에 나와있는 내용을 공부하고 정리해보려고 한다. 해당 내용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홈페이지의 지침·가이드라인에 나와있는 내용으로 민간과 공공부문으로 나누어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치운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각 부문으로 나누어 정리해보자. ① 민간부문 영상저보처리기기 설치·운영 가이드라인 > 본 가이드라인은 개인정보보호법 제25조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치·운영 제한 내용과 개인정보보호법 시행령 제22조부터 제27조까지 및 표준개인정보보호지침 제3장의 내용을 설명한 것이라고 나와있다. > 제정·개정에 관한 내용으로는 2012년 3월 5일에 제정하였고, 최근 4차 개정본을 2021년 4월 14일부터 시행한다고 서술하고 있다. > 이 가이드라인의 제정 목적으로는 민간부문의 영상정..
어제에 이어서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해설서를 참고하여 4과목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려고 한다. ①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의 개요 >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의 기준은 개인정보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가 다소 차이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여러가지 부분들에서 공통적으로 보호조치를 해야하는 기준은 같으므로 빠르게 살펴보면 좋다. > 우선적으로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의 법적 근거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인 안전조치의무를 기준으로 하고, 개인정보보호법 시행령 제48조의2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에 관한 특례 3항을 근거로 하고 있다. > 위의 내용에서 보듯이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의 적용 대상은 다음과 같다.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