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첫째주, 정보처리기사 3회 필기를 보고 왔다.
필기 합격에 대한 기억을 까먹기 전에 블로그에 합격 후기를 남기면 좋을 것 같아서
몇 일정도 지났지만 합격 후기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이 글은 정보처리기사를 현재 준비중이거나 준비하려고 하시는 분들을 대상으로 작성하려고 한다.
그 의미는 즉, 정보처리기사에는 무슨 과목과 무슨 내용이 나오는지 잘 아실 것이라 생각한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2022년도 정보처리기사 3회 필기는 종이 시험지가 아닌 CBT 형식의 컴퓨터 시험으로 바뀌었다.
종이 시험으로 본 적은 없지만, 친구말을 빌리자면 정처기 시험을 보시는 분들이 한 줄에 있고
종이 시험지를 뒤로 넘기면서 시험지에 문제를 풀어가면서 풀었다고 한다.
정보처리기사든 다른 자격증이든 공부를 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cbt 사이트에서 기출 문제를 푸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회차는 CBT 형식이였기 때문에
낯설지 않고 오히려 익숙하게 문제를 풀 수 있었다.
그렇다면, 종이가 없어서
프로그래밍 문제나 자료구조 문제는 어떻게 하였는가?에 대한 질문이 있을 수 있다.
시험이 시작되기 전 해당 고사실에 메모장이라고 A4 용지 1장보다 조금 작은 용지를 한장 준다.
사실 한장이면 충분히 정처기 문제는 앞,뒷장으로 풀고 나올 수 있다.
(참고로, 앞 뒤 옆자리 모두 시험 보는 분야가 달랐던 것 같다 (부정행위 방지 목적인듯))
간략하게 시험 과정은 이정도로 마무리하고,
시험 과목과 난이도, 준비 과정을 말해보려고 한다.
필자는 점수가 정확하게 기억은 안나는데 (높은 과목 점수만 외우고 짐싸서 바로 나옴)
과목당 70-75, 4과목인 프로그래밍 과목은 90점을 맞고 나왔다.
주변에 정처기를 이미 보신 분들이나 수제비 카페에 필기 후기를 보고 갔었는데,
난이도는 전 회차에 비해 쉽고 기출문제에서 많이 나왔다고 안심하고 갔는데…
개인적인 후기로는 난이도는 어려웠다고 할 수 있다.
컴퓨터 전공은 아니지만, 보안을 전공하면서 기초 이론도 배웠기 때문에
(짧게 공부했지만) 나름 자신있게 시험을 보러갔었는데 어려웠다고 생각한다.
비율로 따져보자면,
기출에서 나온 문제가 60문제, 안나온(보지 못한) 문제 40문제 정도인 것 같다.
위 기준은 필자 기준으로 하루 2-3시간정도 10일 조금 안되게 공부한 공부량,
기출문제는 22년도, 21년도, 20년도 각 년도별 1번씩 풀고
2021년 8월~2022년 4월까지 3회분, 총 6회분의 기출을 돌리고 간 기준이다.
하지만, 난이도가 어렵다는 소리는 8~90점 목표로 했던 필자 본인에게 하는 소리이고,
이론 공부와 기출 문제를 적당하게 공부하고 갔다면 커트라인인 60점은 충분히 넘을 수 있는
적당한 수준의 난이도라고 생각이 들었다.
결론: 비전공자인 분들도 이론과 기출 문제 병행을 통해 충분히 필기 합격할 수 있는 난이도.
이정도로 필기 합격 후기를 마치고,
내가 공부했던 방법 및 필기 합격 이후 느낀점과 정리했던 파일을 올리면서 마무리하려고 한다.
1과목 | 이론 위주의 설명들, 구조적 방법론과 애자일 방법론 등 헷갈리지 않을 만큼 이론을 공부할 것 (그만큼 헷갈리는 문제가 상당 수 출제됨) |
2과목 | UI에 관한 사항들과 인터페이스에 관한 문제가 상당 수 출제됨, 단골 문제인 하향식, 상향식 통합 테스트와 스텁, 드라이브에 관해 개념 정리를 잘 하고 갈 것 ! |
3과목 | 데이터베이스는 무조건 키워드 암기 !! ex) 4NF -> 다치 종속 / 5NF -> 조인 종속 나름 효자 과목인데, 암기를 잘해야 한다.. (개념, 논리, 물리 스키마에 대해 정리 잘할 것 !) |
4과목 | 프로그래밍 과목은 유튜브로 많이 공부하면 좋다. 이번에 순회가 3-4 문제 정도 나왔고, 후위식 표현도 나왔다. C, Java, Python은 골고루 나오고 난이도는 어렵지 않다. (공부한 기준) 선점, 비선점 스케줄링도 공부해갈것 ! 서브넷 네트워킹도 공부해갈것 ! (공부하면 정말 효자과목이다.. 90점 감사합니다 ㅠㅠ) |
5과목 | IT 쪽 전공자지만 상당히 애먹은 과목... 오랫동안 공부를 안해서 그런지 신용어들이 상당히 많이 나왔고, 프로토콜 용어 관련해서 헷갈리게 나왔다. IT 관련 뉴스, 기사 등을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
해당 파일에 별표가 당연히 시험에 나온 내용이며,
해당 파일은 필자가 필기 내용을 공부하면서 정리한 것 +
기출 문제의 내용과 해답을 정리해논 것이다.
이 글로 정보처리기사 필기 준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모두 화이팅 ❗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도 정보처리기사 3회 실기 합격 후기 (0) | 2022.12.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