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빈나쌤 강의 참고: https://youtu.be/m-9pAwq1o3w ✔️ 복잡도(Complexity) 복잡도란? : 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 1. 시간 복잡도 - 특정한 크기의 입력에 대한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 분석 2. 공간 복잡도 - 특정한 크기의 입력에 대하여 알고리즘의 메모리 사용량 분석 복잡도가 낮을수록 좋은 알고리즘 ✔️ 빅오 표기법(Big-O Notation)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항만을 고려하는 표기법으로 함수의 상한만을 나타내게 된다. ex) 3N^3 + 2N^2 + 1000 이라면, O(N^3)으로 표현하게 된다. 상수 시간에 해당하는 복잡도가 가장 좋은 복잡도이며, 지수 시간에 해당하는 복잡도가 가장 커지는 나쁜 복잡도이다. 예를 들어 모든 데이터를 하나씩 확인하며 합계를..
더보기 AWS: https://aws.amazon.com/ko/?nc2=h_lg ✔️ AWS IAM이란? AWS IAM은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의 약자로,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 서비스라고 나와있다. 또한, IAM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인증(로그인) 및 권한 부여(권한 있음)된 대상을 제어하는 기능 등을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출처: https://docs.aws.amazon.com/ko_kr/IAM/latest/UserGuide/introduction.html) 그리고 작동 방식은 위의 그림처럼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를 사용하면 AWS의 서비스 및 리소스에 액..
더보기 참고: 2022 AI/SW 온라인 실무 교육 (2022aionline.elice.io) ✔️ MVC 패턴 MVC 패턴은 웹 서비스의 가장 대표적인 프로젝트 구성 패턴으로 프로젝트 기능들을 어떻게 분리할지에 대한 하나의 구성 방법이다. Model - View - Controller 로 구조화되어있는 패턴이다. 1) Model - 데이터에 접근하는 기능 또는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한다. - 데이터의 읽기, 쓰기는 Model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구성해야 한다. 2) View - 데이터를 표현하는 기능으로 Controller에 의해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 전달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현한다. 3) Controller - Model을 통해 데이터에 접근한다. - 처리 결과를 View로 전달하는 기능을 ..
참고: https://aws.amazon.com/ko/amplify/ ✔️ AWS Amplify란? AWS Amplify는 Amazon 클라우드 서비스의 일종으로 App 백엔드 생성, 프론트엔드 UI 구축, 웹·앱 호스팅 등의 기능으로 나뉘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 AWS Amplify 서비스 기능 1) Amplify Studio -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로 프론트엔드의 UI와 백엔드 풀 스택 앱을 빠르게 구축하고 배포할 수 있는 point & click 환경이다. 2) Amplify CLI - 명령줄 인터페이스로 명령어를 통해 앱 백엔드를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로컬 도구 체인 형태이다. 3) Amplify Library - 오픈 소스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더보기 참고: https://www.geeksforgeeks.org/doubly-linked-list/ 참고: https://yjg-lab.tistory.com/122 ✔️ 이중 연결 리스트란? [자료구조] 연결 리스트: https://slumpdev.tistory.com/entry/%EC%9E%90%EB%A3%8C%EA%B5%AC%EC%A1%B0-%EC%97%B0%EA%B2%B0-%EB%A6%AC%EC%8A%A4%ED%8A%B8 이중 연결 리스트를 알려면 우선, 연결 리스트에 대하여 공부를 해야하는데 앞선 글을 참고하자. 이중 연결 리스트, Double Linked List는 자료구조에서 나오는 하나의 개념이다. 간단하게 줄여서 DLL이라고 부르는데, 이중 연결 리스트는 하나의, 단일의 연결 리스트에 ..
더보기 참고: https://www.geeksforgeeks.org/what-is-linked-list/ ✔️ 연결 리스트란? 연결 리스트는 앞에 아무것도 붙지 않은 Linked List 라는 개념이다. 연결 리스트는 배열처럼 *선형 자료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선형: 선형, 선형 자료 구조라는 것은 하나의 자료 뒤에 하나의 자료가 존재하는 것으로, 앞 뒤 관계가 1:1의 선형 관계를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배열과 리스트를 예시로 들며, 스택과 큐도 해당된다고 한다. 이러한 선형 구조로 된 연결 리스트는 배열하고는 다르게, 인접한 위치에 저장되는 것이 아닌 요소는 포인터를 사용해 연결된다. 여기에는 연결된 노드가 포함되며, 각 노드는 다음 노드의 데이터와 주소를 저장한다. 연결 리스트를 도식화한 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