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https://poiemaweb.com/js-closure *클로저는 실행 컨텍스트의 개념을 선행해야한다. 클로저란? 💡 “A closure is the combination of a function and the lexical environment within which that function was declared.” 클로저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됐을 때의 렉시컬 환경(Lexical environment)과의 조합이다. function outerFunc() { var x = 10; var innerFunc = function () { console.log(x); }; innerFunc(); } outerFunc(); // 10 스코프는 함수를 호출할 때가 아니라 함수를 어디에 선언하였는지에..
Array index로 element에 접근이 가능한 자료구조 일반적으로 논리적 저장 장소와 물리적 저장 장소가 같다. 찾고자하는 원소의 index를 알고 있으면 O(1)을 갖는다. 배열의 삭제 작업이 발생하면, 원소 접근 O(1)을 수행하고 빈 공간을 만든 다음 삭제한 원소보다 인덱스가 큰 원소들이 이동하는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O(n)을 수행하게 된다. ( worst case도 O(n) 수행 ) 배열의 추가 작업도 모든 원소들의 인덱스를 이동하는 비용이 발생하여 O(n)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의미의 배열은 메모리 영역을 연속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배열은 밀집 배열(dense array)이라고 한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의 배열은 배열 요소를 위한 각각의 메모리 공간이 동일한 크기를 갖지 않아도 되며..
행정안전부는 '데이터기반행정법' 개정안 입법을 예고하면서, 공공기관 간의 데이터 공유를 의무화해 칸막이 없는 정부 구현을 위한 정책 기반이 조성될 것이라고 전해졌다. 이러한 개정안을 지난 27일부터 5월 31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으며, 기관별 보유 데이터의 원활한 공유와 활용을 통해 범정부 데이터 공유플랫폼 구축 기반의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해졌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7621&page=1&mkind=1&kind=2 행안부, 최초로 ‘공유데이터’ 도입해 칸막이 없는 정부 만든다 공공기관 간 데이터 ‘공유’ 의무화로 칸막이 없는 정부 구현을 위한 정책 기반이 조성된다. 행정안전부는 이와 같은 내용이 담긴 ‘데이터기반행정 활성..
KT클라우드는 컨테이너 인프라 서비스인 'K2P 스탠다드'를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CSAP) IaaS 서비스로 등록을 완료했다고 전해졌다. 또한, 공공 기관 대상 클라우드 환경인 G-클라우드에 출시했다고 전했다. 여기서 나오는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 CSAP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주관으로 공공 기관에 안전성·신뢰성이 검증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정보보호 기준 준수 여부를 평가·인증하는 제도이다. K2P 스탠다드는 신속한 클러스터 환경 구축과 표준화된 클러스터 버전 지원, 운영 안정성 등의 장점이 존재한다고 전해졌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290318?sid=105 KT클라우드, 공공 클라우드에 컨테이너 인프라..
드롭박스가 영상을 보면서 화면에 댓글 쓰는 협업툴 '드롭박스 리플레이'를 출시했다고 전해졌다. 주요 기능인 '라이브 검토'는 공동 작업자가 서로 다른 공간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을 보면서 해당 프레임에 마크업 또는 댓글을 남길 수 있다고 전했다. 뿐만 아니라, 미스커뮤니케이션 방지와 편집 시간 단축 등으로 효율적인 영상 프로젝트를 돕는 장점이 있다고 전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290112?sid=105 드롭박스, 영상 보면서 화면에 댓글 쓰는 '드롭박스 리플레이' 출시 드롭박스가 동영상, 이미지, 오디오 파일의 검토와 승인 작업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협업툴 '드롭박스 리플레이'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에 26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드롭..
최근 캐나다의 퀘벡대학교 소속 연구원들이 챗GPT 생성 코드의 보안성을 조사한 논문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C, C++, Python, HTML, JAVA 등 다섯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해준 프로그램에 보안 취약성을 지적하여 수정해야한다고 설명했으며, 일반적으로 생성한 코드는 대부분 최소한의 보안 표준에도 훨씬 미치지 못했다고 전해졌다. 그렇기에 기업 기밀 정보를 학습 후 재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코드 기밀성 고려와 동일 작업 요청에 언어마다 다른 보안 수준의 결과를 내는 불일치 문제 해소 등이 지적되고 있다고 전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289999?sid=105 "챗GPT 작성 코드, 보안 수준 낮아 그냥 쓰면 위험" 대화형 A..